로그인

주요자재동향

제목: 주요자재동향(물가정보 2006년 2월호)
  • 등록일 2006.01.31
봉강 : 철근의 유통가격이 비수기에 한파까지 겹치면서 메이커 D.C폭이 커져 톤당 460,000대로 내려갔으며, 재고량도 30만톤을 넘어 대대적인 감산계획이 있을 전망.

형강 : 1월들어 앵글, 쟌넬, 평철, H빔 등 형강가격이 소폭 인하되어 시장에서 톤당 54~55만원에 거래되고 있다. 건설경기 전망이 밝지 않아 당분간 약세 전망.

강판 : 열연강판 가격이 일반재 기준으로 톤당 70,000원 인하되었으며, 이로인해 후공정인 CR, GI 가격 또한 연동되어 인하됨.

특수강 : 포스코의 스테인리스강판 가격 인하후 시장이 제자리를 찾아가고 있지만 열연제품이 전달에 비해 인하된 가격에 거래되고 있어 안심하기에는 다소 이른 모습.

비철금속 : LME 시세에 연동되어 1월 국내 비철금속 고시가격이 ㎏당 아연 208원, 전기동 225원, 알루미늄 260원씩 각각 인상되었다. 전기동 상승으로 동제품 강세지속 전망.

원목 : 전년도말 원목의 내수가격 오름세가 환율이 하락하면서 수입단가가 내려가 한풀 꺾였다. 수요가 받쳐주지 못하는 상태에서 일부 지역의 덤핑현상까지 나타나고 있음.

골재, 레미콘 : 비수기로 골재의 수요가 감소, 공급과잉현상이 나타나고 있으며, 레미콘 가격은 2005년도에 수요가 급감하면서 가격이 약세를 띄며 전년도말 소폭 인하되었다.

토목용블록 : 기존 콘크리트옹벽의 문제점인 배면수압상승에 따른 옹벽균열 등을 해결하고 주변 환경과 조화를 이룰 수 있는 신공법이 개발되면서 수요가 지속적으로 증가.

아스콘 : 원유 등 원자재가격이 강세를 보이고 있는 가운데 골재 가격의 인상과 국제유가 상승으로 제조원가가 상승하여 가격이 인상됨.

도로안전용품 : 원자재와 인건비 등 원가상승 요인들이 연초 가격책정에 반영되면서 전반적으로 가격이 상승세를 나타내고 있음.

석유화학제품 : 국내 나프타가격이 리터당 5.27원, 에틸렌, 프로필렌가격이 kg당 16원 인하되는 등 기초유분의 가격이 인하세를 이어감.

도료 : 도료업계는 년초 발주물량에 기대를 하였으나 수출만 다소 회복되었을 뿐 내수는 기대에 미치지 못해 당분간 현시황이 이어질 전망.

벽돌 : 비수기에 한파까지 겹치면서 수요가 감소하고 재고량이 증가하여 업계의 근심이 커지고 있는 실정이며 날씨가 풀리는 봄까지는 수요회복이 힘들 전망.

유리 : 정부의 각종 건축규제와 경기침체, 수입유리의 증가로 업계가 힘겨운 한해를 보냈다. 특히 중국산 저가 수입유리의 증가는 유통가의 정상화를 어렵게 하였음.

합판 : 내수경기 침체와 부동산 투기억제정책으로 건축경기가 위축되면서 합판 수요가 크게 감소하여 보통·가공합판 모두 생산과 수입이 크게 감소함.

파이프 : 포스코에서 강판제품에 대한 가격을 인하함에 따라 시장상황은 과당경쟁이 사라지면서 가격은 빠르게 안정세를 되찾고 있음.

관이음쇠 : LME 동시세의 강세로 동관련 부속의 가격인상이 이어지고 있으며, 주철 및 스테인리스류는 포스코의 가격인하 영향으로 약보합세를 유지함.

밸브 : 중국산 제품의 가격상승 등으로 과당경쟁이 일부 해소되면서 동관련 제품을 시작으로 밸브류의 가격이 인상될 것으로 전망됨.

난방기기 : 가격인상을 단행해야할 시점임에도 불구하고 경기침체가 소비자의 구매욕을 떨어뜨리고 있어 당분간은 보합상태를 유지할 전망.

승용차 : 출시되는 신차 가격이 물가상승률 대비 너무 큰 폭으로 올라 국산 자동차의 가치를 높이기 위해 가격을 올려야한다는 세력과 마찰이 일고 있음.

전선 : 2006년을 맞으며 톤당 4,700달러로 또다시 기록을 경신하는 전기동 가격에 관련 업계가 긴장하고 있다. 2006년 인상설과 안정설이 난립하는 가운데 불안정한 상황.

조명기구 : 국내 업체들이 무전극형광등 개발에 연이어 성공하면서 장수명, 고효율 조명 시장에 변동이 예고되고 있다. 시장을 둘러싼 국내외 업체의 경쟁이 심화될 전망임.

지류 : 지류시장은 내수경기의 회복세와 원료인 펄프가격의 하향 안정화로 작년보다 나아질 것으로 전망되면서 당분간은 안정세가 지속될 전망임.

고철 : 지속적인 하락세와 동절기 발생량 감소로 인해 고철가격의 반등 가능성은 내포되어 있으나 수요가 많지 않아 큰 폭의 가격상승은 없을 것으로 전망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