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강사, H형강 수입대응 견제 수위 '유지'
3월 H형강 수입량이 다시 증가한 점에서 현대제철, 동국제강 등 국내 H형강 제조업체이 대응 수위를 높일 것으로 예상했으나 제강사들은 가격 맞불 정책을 이어가면서도 성수기 수익성 확보 차원에서 종전 수준을 유지키로 했다. 지난달 1일부터 22일까지 중국산 H형강 수입량은 5만7천t을 기록했다. 이는 전년 동기 대비 16.4% 적은 수준이지만 제강사들이 적정선으로 판단하는 4만t보다는 42.5% 많다. 지난 10일까지는 전년 동기 대비 35.4% 적은 1만9천t에 머물렀으나 중순 들어 갑자기 늘었다. 제조업체가 발표한 4월 1일~15일 수입대응 방침을 보면 직전 대비 기존 수위를 유지하면서 대응 규격을 대폭 교체했다. 대응 규격은 소형이 6개로 직전 대비 1개 줄었고 3개가 바뀌었다. 중형은 3개로 직전 대비 1개 규격이 변경됐다. 대형 규격은 기존 규격이 유지됐다. 세부 규격은 소형은 200x100, 200x200, 250x250, 300x150, 294x200, 298x201,중형은 300x300, 400x200, 500x200, 대형은 700x300, 800x300, 900x300 등이다. 대응 가격은 소형 톤당 63만원, 중형 67만원, 대형 88만원으로 직전 대비 동결했다. 수입업체들의 기존 재고는 약 35만톤 수준으로 여전히 포화 상태로 알려져 있어 4월에도 국산과 수입산의 판매경쟁이 치열할 것으로 전망된다. 제조업체는 기본적으로 수입재와 대응재 가격 차이를 톤당 4만~5만원까지 낮춘다는 기조를 유지할 것이라는 입장이다. H형강 유통업계는 4월부터 국내외 대형 프로젝트를 중심으로 H형강 수요가 증가, 할인폭 축소 시너지가 높아질 것으로 전망하며 수익성 회복을 기대하고 있다.
서울시, 노후하수관로 정비에 2,890억원을 투입
서울시가 올 한해 노후하수관로 정비에 2,890억원을 투입, 각 자치구에 예산을 배정하고, 공사발주에 들어간다고 밝혔다. 서울의 하수관로는 총 10,392㎞(‘13년 12월 기준)로 이중 30년 이상 노후하수관로만 절반에 달하는 약 5,000㎞(48.3%)에 이른다. 특히 노후관로 중에서도 3,700㎞가 도로함몰 우려지역(충적층 및 도로함몰 발생지역)에 위치하고 있어 개선이 시급한 상황이다. 이에 시는 올 한해 노후하수관로 정비에 1,840억원을 투입하고, 하수도 침수방지 사업에 1,050억원, 총 2,890억원을 투입한다고 밝혔다. 특히 지난해보다 노후하수관로 정비예산이 35% 증가했는데, 이는 최근 서울시내 곳곳에서 발생하는 도로함몰로 시민불안이 가중됨에 따라 노후 하수관 정비예산이 증가된 것이라고 시는 설명했다. 이번 예산을 송파, 여의도, 강북 지역 등 서울의 일부 지역의 노후하수도에 투입하여 도로함몰 예방효과를 볼 수 있을 것으로 기대가 되나, 여전히 도로함몰을 예방하기 위한 하수도 정비예산이 턱없이 부족한 실정이다. 서울의 50년이상 노후한 하수도 932㎞를 ‘18년까지 정비하는데 평균 2,565억원이 소요되나 서울시 재정 여건상 1,548억원이 한계이므로 매년 1,017억원의 국비지원이 절실히 필요한 입장이다.
국내 현실을 외면한 관세할증
정부가 국내산만으로 조달할 수 없는 마루 제조용 합판의 현실은 외면한 채 국내 합판산업 보호라는 이유로 전체 합판에 대해 조정관세를 부과하고 있어 대부분의 영세한 합판마루 제조업체들이 원가 상승을 피할 수 없게 되며 어려움을 겪고 있다. 업계에 따르면 현재 두께 6㎜~10㎜의 수입산 합판은 기본관세 8%에 2% 포인트 할증된 조정관세 10%를 적용받고 있고, 이 조정관세로 인하여 합판마루 제조업체들의 부담이 가중되고 있는데, 합판마루 제조를 위해서는 특정 규격의 합판이 필요한 데 국내에서는 두 업체만 생산하고 있어 공급이 턱없이 부족하여 수입산 합판을 사용할 수밖에 없다. 할증된 조정관세 2%포인트가 큰 수치가 아닌 것처럼 보이지만 합판마루 제조원가를 따져보면 합판마루 제조원가에서 합판이 차지하는 비중은 50%를 넘는다. 수입산 합판 조정관세 문제는 정부가 대형 합판업체와 영세한 합판마루 업체 간 이해관계가 충돌하는 상황에서 대형 합판업체들의 손을 들어주고 있기 때문이라고 지적하는 시선도 있다. 실제로 수입산 합판 조정관세 적용은 국내 합판산업 보호를 주장하는 한국합판보드협회의 요청에 따라 이루어진다.
화재방지책에 반발하는 스티로폼업계
스티로폼업계는 국토교통부가 7월 시행을 목표로 최근 입법 예고한 ‘건축물의 피난ㆍ방화구조 등의 기준에 관한 규칙 개정안’이 화재를 예방할 근본 대안을 외면한 채, 업계 경영부담만 가중시키는 쪽으로 추진되고 있다고 반박했다. 선진국은 화재예방의 일차적 대책이 건축물 불법개조 차단, 경보기ㆍ스프링클러 점검 강화, 소방차 진입도로 확보 등 소방설비에 집중되어 있지만, 이번 개정안은 건축자재에만 집중되어 있다고 비난하고 있다. 개정안이 비가연성에만 초점을 맞추면서 단열효과가 뛰어난 가연성 소재의 입지가 약해지고 있는데, 비가연성 소재는 난연성능이 우수하지만 에너지 저감을 위한 단열성능은 떨어진다. 하지만 정부가 이런 현실을 외면한 규제에 나서면서 가연성소재 업계의 좌절이 심각하다. 업계 관계자는 스티로폼을 근간으로 한 자재시장이 경제성을 어렵게 확보한 단계에서 불연단열재란 새 명분 아래 ISO 등 국제적 공인시험을 통해 안전성이 확보된 스티로폼과 관련 자재의 화재 위험성을 왜곡하는 것은 화재예방의 정공법이 아니다. 오히려 설비 쪽의 초기진화를 막는 것이 제도개선의 중심이 되어야 한다고 밝혔다.
전기동 시세 드디어 반등
올 들어 처음으로 국내 전기동 가격이 오름세를 보였다. 그동안 계속되던 시세 하락을 끝내고 반등한 것에 힘입어 대부분의 업체들이 동 제품 가격을 일제히 인상하면서 전반적으로 상승 조정된 것이다. 실제로 지난달까지 계속해서 하락만을 거듭하던 동 제품 가격 때문에 업계에서는 경영난을 호소하는 업체가 많아졌던 탓에 이번 전기동 가격 인상에 반가움을 나타냈다. 하지만 전기동 가격만 반등에 성공했고, 나머지 비철금속들의 가격은 약세를 이어가고 있기 때문에 합금 제품들의 가격은 품목별로 대조적인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인청동 제품의 경우 주석 시세는 하락했으나 전기동 인상 폭이 더 크게 작용하면서 상당한 가격 인상분을 책정한 반면, 양백 제품의 경우 전기동 시세의 반등에도 불구하고 워낙 큰 폭으로 떨어졌던 니켈 가격 때문에 소폭의 가격 인상에 만족해야 하는 상황을 마주했다. 하지만 원자재 시세가 모든 제품에 즉각적으로 반영되는 것은 아니므로 당분간 시장의 추이를 지켜봐야 할 것으로 예상된다.
전 차종 시세 오름세에 접어들어
중고차 업계 관계자는 중고차 수요가 증가한 추세를 바탕으로 오름세가 지속될 것으로 내다봤다.
경소형차의 시세는 강보합세다. 시세는 지난달 대비 20만원 정도 올랐고 소형차의 경우 지난달보다 50만원 정도 올랐다. 사회 초년생들이 중고차 시장을 가장 많이 찾는 봄철인 만큼 저렴한 시세의 경소형차가 인기인 것이다. 준중형차의 시세도 강보합세다. 남녀노소 누구에게나 수요가 높은 차종인 준중형 모델 중 일부 차량을 제외한 전 품목 시세가 모두 오름세를 기록하고 있다. 중대형차의 시세 또한 반등했다. 중대형차 시세 하락을 이끌었던 특정 품목의 시세가 오름세로 전환됐기 때문이다. 따라서 중대형차를 판매할 계획이 있는 차주라면 이달 팔면 값을 비수기 때보다 높게 받을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SUV는 소형 위주로 지난달 대비 시세가 올랐으며 RV의 경우 전반적으로 오름세다. 젊은 소비층에 인기가 많은 소형 c는 시세가 지난달보다 20만원 정도 올랐으며 RV의 경우 약 50만원 올랐다. 중고차 업계 관계자는 “연말연초엔 중고차시세가 약세를 보이지만 성수기가 시작되는 봄에는 매매업체가 확보해둔 매물이 많아 구매 시기를 서둘러야 한다”고 말했다. 아울러 “SUV는 요즘 비수기가 없을 정도로 수요가 공급보다 많다”며 “시세보다 비싼 가격에 판매되는 인기차종보다는 비인기차종을 노리면 좀 더 합리적인 가격에 성능도 좋은 차를 구입할 수 있다”고 덧붙였다.
LED 조명 효율등급제 도입
현재 고효율에너지기자재인증 품목인 LED조명이 내년부터 단계적으로 에너지소비효율등급제 대상으로 전환될 전망이다. 이 경우 소비자가 에너지효율을 쉽게 인지할 수 있도록 제품 외관에 에너지소비효율등급 라벨이 표시되며, 최저소비효율기준(MEPS)을 충족하지 못하는 제품의 생산과 판매가 전면 금지돼 저질 LED조명의 시장퇴출이 가속화될 전망이다. 김의경 에너지관리공단 실장은 “저효율 LED조명의 시장퇴출을 위해 내년에 (LED조명에 대한) 효율등급제 도입이 추진될 것”이라고 밝혔다. 그러나 “시장현황, 보급량, 기술수준 등을 고려해 일단 컨버터 내장형·외장형 램프를 효율등급제로 우선 이관하는 방안이 검토되고 있다”고 밝혀 내년 이후부터는 LED조명에 고효율인증제와 효율등급제가 함께 적용될 것임을 예고했다. LED조명을 효율등급제로 전환하면 고효율기자재인증품목으로서의 보조금이나 세제혜택 등은 사라질 것으로 예상되며 내년에는 지자체에 대한 LED조명 지원예산도 더 삭감되고, 2017년 이후에는 (LED조명에 대한) 보조금을 없애는 쪽으로 가닥을 잡고 있는 만큼 기업들의 준비가 필요할 것으로 전망된다.
LPG수입가격 평균 15달러 인하, 국내는 ㎏당 38원 인상
두 달 연속 인상됐던 LPG수입가격이 4월에는 톤당 평균 15달러 인하됐다. 국내 LPG수입사들이 사우디아라비아 아람코사로부터 공급받는 4월 수입가격은 프로판은 톤당 460달러, 부탄은 470달러로 조정됐다. 프로판의 경우 전월 대비 톤당 40달러 내린 반면 부탄은 10달러 올라, 평균 15달러 인하됐다. 수입가격은 지난해부터 크게 안정됐으나 올해 2월에 평균 17.5달러 3월에도 평균 15달러 오르면서 반등세로 돌아섰다. 하지만 최근 국제유가의 하락세 영향으로 수입가격도 일시적으로 안정세로 돌아선 것으로 분석된다. 반면 국내 4월 LPG가격은 ㎏당 38원 인상됐다. 이에 따라 4월부터 프로판충전소 공급가격은 가정∙상업용 프로판은 874.4원/㎏, 산업용은 881원, 자동차용 부탄은 1,266원(739.34원/ℓ)으로 조정됐다. 국내 LPG가격이 오른 것은 지난달 LPG수입가격이 프로판은 톤당 500달러, 부탄은 460달러를 기록하면서 전월 대비 평균 15달러 올랐고 환율도 소폭 상승한 영향이 컸다. 국내 가격변동 추이를 보면 지난해 8월부터 올해 2월까지 7개월 연속 하락세를 유지하다 3월 가격동결을 거쳐 반년 만에 가격이 인상됐다. 본격적으로 가격이 인상되지는 않을까 걱정하는 소비자들이 많겠지만, 다행히 금번 수입가격이 소폭 인하되면서 환율추이에 따라 다소 변수는 있겠지만, 향후 국내 LPG가격에는 큰 변동이 없을 것으로 전망된다.
채소과채류, 생산량 증가. 지난해 가격 못 미칠 듯
오이와 호박 등 채소과채류의 생산량이 이달 들어 계속 늘어날 것으로 보이며 이에 따라 4월 도매시장 시세는 지난해보다 낮은 것으로 조사 되었다. 이에 따르면 애호박은 주산지인경남 진주의 재배규모 확대와 의령, 고성과 충북 청주, 충남 부여의 신규 재배면적 증가로 4월 출하량이 지난해보다 6% 증가할 것으로 관측됐다. 이에 평균도매가격도 작년의 1만5900원보다 낮은 상품 20개 기준 1만1000~1만3000원 대의 시세가 예상되고 있다. 풋고추의 경우 청양계 풋고추는 4월 출하면적이 가지, 토마토 등으로의 작목전환 영향으로 지난해보다 1% 감소할 것으로 전망되나 단수가 지난해보다 3% 증가할 것으로 조사돼 출하량도 지난해보다 1% 증가가 전망된다. 최근 수산물 중 고등어 가격은 지난주 3,900원에서 이번주 3,981원 으로 2.1% 상승하였다. 그 이유로는 어군밀도가 낮은 가운데 해상여건(풍량주의보)이 좋지못해 어획량 감소로 오름세를 보이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