품명
|
전월비
|
전망
|
시황
|
봉 강
|
인하
|
보합
|
국내 이형철근 유통가격이 현재 고점이라는 견해가 지배적인 가운데 톤당 6만원 가량 하락했다.
|
형 강
|
인상
|
보합
|
국내산 H형강 가격은 소폭 하락했지만 이외 ㄷ형강 및 평강 등 기타 형강류 가격이 상승하고 있다.
|
강 판
|
인하
|
보합
|
좀처럼 강판류 수요가 회복되지 못하고 있는 가운데 열연/냉연강판류 가격이 하락세를 보이고 있다.
|
특 수 강
|
인상
|
인상
|
국제 스테인리스 가격이 큰 폭으로 상승함에 따라 국내 스테인리스강판 가격 또한 인상 기조를 보이고 있다.
|
비철금속
|
인상
|
인상
|
그동안 급등세를 보인 아연 가격이 안정세를 찾고 있지만 마그네슘 가격이 다시 인상 국면을 나타내고 있다.
|
시멘트
|
보합
|
보합
|
하반기 가격 협상 이후 이렇다 할 변동이 없이 가격은 보합세를 유지하고 있다.
|
산업용화약
|
인상
|
보합
|
구리, 동선 등 원재료 가격 상승과 주 52시간 제한 등 인건비 상승으로 인해 약 7년 만에 9% 가량 가격이 인상됐다.
|
스트레이트
아스팔트
|
보합
|
보합
|
국제유가가 80달러를 돌파함에 스트레이트아스팔트은 670원에서 730원으로 가격이 인상됐다.
|
고강도
콘크리트파일
|
보합
|
보합
|
요소수 대란으로 고강도콘크리트파일 등 각종 건설자재 생산이 연쇄적으로 직격탄을 맞으며, 당분간 수급상황이 좋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
천연잔디
|
보합
|
보합
|
천연잔디와 인조잔디를 조합한 하이브리드 잔디의 기능이 개선되면서 안정적인 수요가 발생하고 있다.
|
콘크리트벽돌
|
보합
|
인상
|
요소수 품귀 사태로 시멘트 생산에 심각한 차질이 빚어질 것으로 예상. 연말 예정되어 있던 가격 인상분이 큰 폭으로 급등할 가능성도 커진 상황이다.
|
합판·보드
|
보합
|
인상
|
주요 목재 가공품의 접착제로 사용되는 공업용 요소의 품귀현상으로 인해 합판·보드류의 가격 강세는 내년 초까지 이어질 것으로 전망된다.
|
판유리
|
보합
|
인상
|
전 세계 판유리 생산의 60∼70%를 차지하는 중국의 생산량이 증가 추세로 전환됨에 따라 이번 달 국내 판유리 가격은 보합을 유지 중이다.
|
배관용
탄소강관
|
보합
|
보합
|
유통업계를 비롯한 실수요업계에서 가격 하락에 대한 기대감이 높아지면서 제품 매입이 급감하고 있다.
|
동파이프
|
인상
|
인상
|
중국의 전기동 수입 물량이 단기간 급증하면서 국내 전기동 가격은 전월대비 ㎏당 682원 인상되었다.
|
배관용
스테인리스
강관
|
인상
|
인상
|
제조업계가 출하가격을 톤당 30만원 수준으로 인상하면서, 배관용 스테인리스 강관의 가격 강세가 지속될 것으로 전망된다.
|
난방기
|
보합
|
보합
|
때 이른 한파로 초겨울 추위가 찾아오면서 난방기 구매가 늘어나며 매출에 청신호가 켜졌다.
|
바퀴(캐스터)
|
보합
|
인상
|
알루미늄, 도금, 윤활유 등 제품 공정에 필요한 전반적인 가격 상승으로 인해 11월 말부터 약 5~10% 인상이 예정되어 있다.
|
곤도라
|
보합
|
인상
|
소재 인상분 적용은 확정되었으나 원자재 수급 문제로 인해 적정가를 검토 중에 있어 12월 쯤 가격 인상분이 발표될 것으로 전망된다.
|
전선?케이블
|
보합
|
인상
|
국제 동 가격이 톤당 10,000달러에 밑도는 모습을 보이면서 국내 동 가격은 ㎏당 680원 상승한 12,000원으로 고시되었다. 대리점에서는 수요위축 및 감소를 이유로 보합세를 유지 중이다.
|
GPU
|
보합
|
보합
|
그래픽카드는 공급부족으로 인한 가격 불안정이 지속되고 있다. 물량 부족도 문제지만 중간 유통사의 과도한 마진으로 인해 가격불안정이 심화되는 것으로 보인다.
|
연료유
|
인상
|
인하
|
정부의 유류세 인하 효과로 국내 휘발유 가격은 떨어질 것으로 전망되나, 원유를 100% 수입에 의존하는 우리나라 경제 구조상 국제유가의 지속적인 상승이 변수가 될 것으로 예상된다.
|
철스크랩
|
인상
|
인상
|
철스크랩 가격이 지속적으로 상승함에, 전달 415원이였던 가격이 이달 445원으로 거래되며 약 7% 정도 인상됐다.
|
근린생활
체육시설
|
보합
|
보합
|
단계적 일상회복으로 접어들며, 야외운동시설 이용 제한이 폐지됨에, 시설물 보수, 아파트 단지 운동시설 조성 등으로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