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

주요자재동향

제목: 주요자재동향(물가정보 2020년10월호)
  • 등록일 2020.09.23

 

품명

전월비

전망

시황

봉 강

보합

강보합

계절적 성수기를 앞두고 제강사의 가격 동결 방침에 따라 전월과 동일한 가격 수준을 이어가고 있다.

형 강

보합

강보합

H형강을 제외한 대부분의 형강 가격이 보합세를 보이고 있다. 제강사의 인상 표명에 따라 향후 강보합세가 전망된다.

강 판

인상

인상

지난달부터 이어진 제강사의 공급량 조절로 인해 유통 재고가 바닥을 드러내고 있는 상황에서 가격이 인상되고 있다.

특 수 강

보합

인상

스테인리스 공급가격을 인상시켰지만 유통가격에는 수요 부진 등을 이유로 인상분 반영이 늦춰지고 있다.

비철금속

인상

인상

국제 비철금속 가격이 대부분 상승하면서 국내 비철금속 가격 또한 인상되고 있다.

시멘트

보합

보합

시멘트사들은 내수시장 매출 부진을 만회하기 위해 수출량을 늘려왔지만 코로나19 여파로 인해 수출 실적이 주춤하고 있다.

돌망태

보합

보합

국지성 호우로 지반이 약화되어, 산비탈길 긴급 보수 작업 등으로 돌망태의 수요가 증가했다. 가격은 보합세를 보이고 있다.

아스팔트

콘크리트

보합

보합

계속된 폭우로 도로 파임현상이 발생하면서 복구 사업이 전국적으로 시행되고 있다. 향후 수요 증가가 예상된다.

진동전압

콘크리트관

보합

보합

전통적 성수기철인 가을철이지만, 코로나19 여파와 최근 장마로 인해 수요 증가를 기대하기는 어려울 것 같아 보인다.

농약

보합

보합

올해 초 가격이 소폭 인하된 이후 현재까지 보합세를 유지하고 있으며, 연말까지 살균제, 살충제, 제초제 등 주요 농약의 가격변동은 없을 전망이다.

발포폴리

스티렌판

보합

보합

국내 건설경기 및 미중 무역분쟁에 따른 글로벌 경기 침체, 원재료 가격의 변동, 수임품목의 증가로 수요가 감소하여 현재 가격은 보합세를 유지하고 있다.

화강석

보합

보합

정부의 라돈 기준치 초과 화강석에 대한 사용제한 조치가 발표되었으나, 남미 등 수입석에 해당되는 사항으로 국내석에는 영향이 없어, 가격도 보합세를 유지하고 있다.

합판·보드

보합

강보합

베트남산 합판에 대해 10%의 덤핑관세를 부과함에 따라 70% 이상 점유하고 있는 베트남산 합판의 가격이 15% 인상될 예정이다.

배관용

스테인리스강관

보합

보합

포스코가 스테인리스 가격을 톤당 5만원 가량 인상했지만, 업황이 좋지 않아 스테인리스강관 가격은 보합세를 보이고 있다.

동파이프

인상

보합

전기동 가격의 상승세가 주춤함에 따라 국내 동파이프가격은 전월대비 ㎏당 95원가량 상승했다.

PVC파이프

보합

보합

국제유가가 등락을 반복하고 있는 가운데 PVC파이프는 시장 수요가 적어 보합세를 유지하고 있다.

보일러

보합

보합

코로나19 여파에도 국내 가스보일러 수출은 지난해 대비 증가했다. 올해 1~7월까지 동기 대비 8%이상 증가했다.

건설기계

보합

보합

여름철 공사 물량 감소와 경기부양을 위한 공공공사 발주가 기대에 미치지 못하면서 건설기계 임대수요도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농업용 제습기

보합

보합

농작물 병충해 방지에 효과적인 농업용 제습기 수요가 증가했으며, 가격은 전월 대비 보합세를 유지하고 있다.

전선․케이블

보합

강보합

국내 전기동 가격이 ㎏당 100원 인상한 7,900원으로 고시되었다. 이에 대리점에서는 업계시장 부진을 이유로 전선․케이블 가격에 대하여 보합세를 유지했다.

D램

보합

보합

중국 화웨이에 대한 미국의 제재 조치가 강화되면서 업체들이 긴급 재고 축적에 들어가 7월부터 하락하던 D램 고정가격이 보합세를 보이고 있다.

석유화학제품

인상

인상

국제유가는 미국 내 원유재고 감소와 중국 생산자물가지수 호조로 인한 상승세가 국내에 반영되면서 가격이 인상되었다.

고철

인상

강보합

최근 철강재의 수요가 증가하고 있어 국내 철스크랩의 구매가 적극적으로 이뤄지고 있다. 이번 달 철스크랩 가격은 톤당 약 5만원 상승하면서 당분간 강세가 지속될 것으로 예상된다.

농축수산물

인상

강보합

콩, 건고추, 햅쌀 등 일부 품목들이 장마로 인해 출하시기가 늦춰졌고, 수확량 또한 감소해 현재 높은 가격대가 유지되고 있다.